본문 바로가기

천문학42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여덟 번째 행성이다. 해왕성은 맨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관측이 아닌 수학적 계산으로 발견된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한 행성이다. 1781년 토성 궤도 밖에서 천왕성을 발견한 뒤 천왕성 너머에 다른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이후 1843년 영국의 존 애덤스가 처음 주장했으나 어린 학생이라는 이유로 그의 의견을 무시되었고, 1845년 프랑스 과학자인 위르뱅 르베리에가 애덤스와 같은 결론을 얻어 과학 잡지에 발표했다. 당시 경쟁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는 이 해왕성 발견의 공로에 대해 치열한 논쟁이 오갔지만 결국 해왕성 발견의 최대 업적은 애덤스와 르베리에에게 함께 전해졌다. 1846년 독일의 요한 갈레는 예측된 위치에서 8등급의 별을 발견하였고, 이.. 2022. 7. 17.
태양계의 목형성 행성 (천왕성) 목성형 행성 중 천왕성은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행성이다. 1781년 천문학자이자 음악가인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쌍둥이자리 근처에서 이상한 천체를 발견하였으나 이를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꼬리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혜성일 것이라 생각했으나, 이후 꾸준한 관측 결과 이 천체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발견된 궤도 위치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보데가 주장한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에 대한 법칙인 보데의 법칙을 증명해주었다는 점에서 더 유명해진 행성이다. 망원경으로 보아도 아주 작고 흐려 크기를 결정할 수 없었던 천왕성의 지름을 측정한 것은 1977년 어떤 행성이 다른 별의 표면을 통과하는 엄폐 현상이 천왕성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때 천왕성이 .. 2022. 7. 16.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 (토성) 태양계 내 목성형 행성 중 토성은 자기권, 내부 구조, 조성 물질, 질량 등 모든 면에서 목성보다 조금씩 작은 가스 행성이다. 토성의 가장 큰 특징은 거대한 고리를 가지고 있다. 토성의 고리는 1610년 갈릴레이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나, 망원경의 해상도가 낮아 확실한 모양을 몰랐다. 이후 약 50년 후 1656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인 하위헌스에 의해 그것이 고리라는 것이 밝혀졌다. 토성은 태양계 탐사 우주선 보이저 1, 2호에 의해 많은 것들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밝혀진 토성의 위성은 목성 다음으로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중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는 지질학적 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태양계에서 목성의 가니메데 위성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천체인 타이탄은 표면 중.. 2022. 7. 15.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 (목성) 태양계의 바깥쪽에는 거대한 가스 행성과 행성급 크기의 위성이 존재하는 곳을 외행성계라고 한다. 외행성계는 태양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물과 메탄, 암모니아 등의 휘발성 물질이 천체를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낮은 온도에서 휘발성 물질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왜행성계는 보통 목성형 행성, 가스 행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질량은 태양을 도는 8개 행성의 99퍼센트를 차지하며, 지구 질량의 14~318배 정도로 암석 행성에 비해 무겁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밀도는 낮아서 암석 행성의 20퍼센트 정도이다. 목성형 행성으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고, 목성과 토성은 대부분 헬륨과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 네 행성은 모두 고리를 가지고 있으나, 토성만 지구에서 고리 관측이 가능하고 나머.. 2022.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