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42

은하적 맥락과 이웃 항성계 약 2천억 개의 별이 모여 있으며, 폭이 약 10만 광년인 막대 나선 은하인 우리 은하 내에 우리 은하계는 자리 잡고 있다. 막대 나선 은하는 중심에 별들로 구성된 막대 모양의 구조를 가진 나선 은하이다. 막대는 모든 나선 은하의 약 3분의 2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막대는 나선 은하 내의 별과 성간 가스의 운동 모두 영향을 주며 나선팔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은하핵을 중심으로 백조 팔, 방패 남 십자 팔, 궁수자리 팔, 페르세우스 팔, 오리온 팔로 태양의 궤도 안에 있으며, 우리 태양은 오리온 팔로 불리는 은하 바깥쪽 나선팔 내에 있다. 은하핵은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 은하는 이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지구에서의 거리는 은하수가 가장 밝게 보이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 2022. 7. 31.
태양계 외곽 지구형 행성은 부피, 질량 모두 작기 때문에 만약 태양계 이외의 항성계에 지구형 행성이 존재하더라도 발견하는 일은 목성형 행성에 비해 매우 어렵다. 하지만 관측 기술의 발전으로 2005년에는 지구에서 15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876에서 지구 질량의 6~7배의 지구형 행성으로 보이는 글리제 876d를 2005년 미국의 탐사팀이 발견하였다. 또한 같은 해 중력렌즈로 관측한 약 2만 광년 거리에 지구 질량의 5배 정도 되는 행성 OGLE-2005-BLG-390Lb를 보고했다. 이후 2007년에는 지구에서 20억 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581에 지구 질량의 각각 5배인 글리제 581c와 8배인 글리제 581d 인 행성이 발견되었다. 이 중 글리제 581c는 우주에서 생명이 탄생하기에 적당한 환경이 .. 2022. 7. 20.
해왕성 바깥 천체 - 카이퍼 벨트 태양계에서 궤도 장 반경이 해왕성의 그것보다 긴 천체를 해왕성 바깥 천체라고 한다. 카이퍼 벨트나 산란 원반, 오르트 구름에 있는 천체가 이에 속한다. 대표적인 천체인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되었지만 후로 오랫동안 해왕성 궤도보다 먼 곳에서는 태양계의 구성원으로 보이는 천체가 발견되지 않은 여전히 미지의 세계이다. 이 천제는 대부분 지구 직경의 5분의 1이고, 질량은 달보다도 작고,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구역을 외태양계라고도 하는데, 이 용어를 소행성대 너머의 외행성계를 가리킬 때 사용하기도 하여 혼동이 생기기도 한다. 해왕성 바깥 천체인 카이퍼 벨트는 소행성대와 비슷한 파편 조각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고리로, 얼음이 주요 구성 물질이며, 소행성대와 다르다. 카이퍼 벨트는 태양계의 해.. 2022. 7. 19.
태양계의 외행성계 (혜성 . 센타우루스 군) 혜성은 휘발성 얼음 혼합물로 수 킬로미터 정도 크기의 태양계 천체이다. 혜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워질 때는 내행성 궤도까지 들어오고, 멀어질 경우 명왕성 바깥까지 멀어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혜성의 궤도는 이심률이 매우 크다. 대부분의 혜성은 약 15킬로미터 이하의 크기인 핵을 가지고, 약 150만 킬로미터의 핵을 둘러싼 먼지와 가스인 코마라는 이름의 꼬리처럼 생긴 구조를 형성한다. 몇몇 혜성의 꼬리는 1억 5천만 킬로미터에 이른다고 한다. 코마는 천문학에서 혜성의 핵 주위의 성운과 같은 덮개이며, 혜성이 태양에 가까이 통과할 때 혜성이 따뜻해짐에 따라 핵의 일부가 승화하여 생성된다. 코마는 고대로부터 인류가 혜성을 표현할 때 사용된 강력한 특징이며,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혜성의 핵은 얼음과 암석, 먼지.. 2022. 7. 18.